MY & YOUR LIFE

이자가 붙는 방법에 따라 단리와 복리로 구분합니다.


이를 계산식으로 풀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 복리의 경우 처음에는 원금에만 이자가 붙지만, 그 다음에는 원금+이자에 다시 이자가 붙습니다.


 

그리고 아인슈타인은 "복리 계산이야말로 인간의 가장 위대한 수학적 발견"이라고 극찬하면서 세계의 여덟 번째 불가사의라고 표현하였다.

 


 

72법칙이란 72를 복리수익률로 나눈 값이 원금의 두 배가 되는 기간이다.

예를 들어 4%의 이율이라면, 18년(72 ÷ 4)이 지나면 원금의 두 배가 된다.

만약 8%의 이율이라면, 9년(72 ÷ 8)이 지나면 원금의 두 배가 된다.


이 72법칙을 복리수익률로 응용할 수 있다.

1억원짜리 투자를 했는데, 10년 뒤에 2억이 되었다면? 복리를 따져서 얼마큼의 수익을 거두었을까? 72를 10년으로 나누면 7.2(72 ÷ 10)가 된다. 7.2%의 수익률이다.



이 표를 참조한다면 복리가 돈을 어떻게 불리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. 이렇게 본다면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돈을 불리는 것이 아닐까?


문제는 지금 우리나라가 저금리 기조이고, 물가상승 등을 고려한다면 의미가 없다고 할 수 도 있다. 이에 누구는 리스크를 감수하고 고이율이 보장되는 상품을 선택하기도 한다. 하지만 중요한 것은 시간이 돈을 불린다는 점이다.


자녀교육과 노후를 준비하는 돈은 내가 벌기 보다, 시간이 돈을 불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현명하지 않을까?